우선 기본적으로 '생활코딩'에서 주어주는 예제 코드를 다운 받습니다.
생활코딩 예제 다운로드
https://github.com/web-n/web1_html_internet
web-n/web1_html_internet
Contribute to web-n/web1_html_interne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Main.js 만들기
서버를 실행시킬 main.js를 만들어 줍니다. 아직 Node.js를 배우지 않았으므로 일단 파일을 복사 붙여넣기 한 후에 예제 코드들로 공부를 해볼 예정입니다. 밑에 코드를 main.js에 복사해서 붙여줍니다.
var http = require('http');
var fs = require('fs');
var app = http.createServer(function(request,response){
var url = request.url;
if(request.url == '/'){
url = '/index.html';
}
if(request.url == '/favicon.ico'){
response.writeHead(404);
response.end();
return;
}
response.writeHead(200);
response.end(fs.readFileSync(__dirname + url));
});
app.listen(3000);
서버 실행
main.js를 Node.js로 실행 시켜줍니다.
$node main.js
실행시키면 터미널이 잠시 멈춘것 같아 보이지만 지금 본인의 컴퓨터가 서버로서 작동하고 있는것입니다.
로컬주소로 들어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"localhost:3000" 이라고 입력해보세요.

위에 화면이 나온다면 성공입니다.
이제다시 터미널로 돌아가 컨트롤(⌃) + C를 누르면 서버를 종료할 수 있습니다.
마무리
예제 서버구성은 완료하였고, 앞으로 만들어본 서버를 기반으로 수정해나가며 공부를 진행할 예정입니다.
'코딩공부 > 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.JS] #04장 파일 읽기 (0) | 2020.02.06 |
---|---|
[NODE.JS] #03장 동적인 웹페이지 만들기 (0) | 2020.01.28 |
[NODE.JS] #01장 Mac에서 Brew를 이용한 Node.js 설치 (0) | 2020.01.07 |